[반·디 기술로드맵] 삼성 폴더블 디스플레이 핵심소재 '유리'도 후보

PI와 유리 혼합·적층하는 방식 고려 중

2019-03-26     이종준 기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김동환 제품연구팀장(전무)은 26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열린 '2019년 반도체 디스플레이 기술로드맵 세미나에서 "현재 폴더블 디스플레이 커버윈도우 소재는 폴리이미드(PI)이지만 얇은 유리(thin glass)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전무는 "PI소재 커버 윈도우(cover window)는 현재 접거나 휘거나 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다"며 "각각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서 PI와 유리를 선택·사용할 것"이라고 했다. "혼합·적층하는 방식도 고려하고 있다"고도 했다. PI는 유리보다 얇고 깨지지 않는다는 장점 덕분에 양산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커버윈도우로 채택됐다. 그러나 PI는 강도, 투명도 등이 유리만 못하다. 유리는 스크래치나 접힌 자국면에서 PI보다 강하다.  하지만 유리는 깨질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폴더블 디스플레이 윈도우로서는 치명적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표면 코팅, PI와 유리간 혼합·적층 등으로 커버윈도우의 성능을 높이려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을 OLED 패널 안에 내장한 디스플레이를 오래전부터 양산하고 있다. 김 전무는 "패널 밖에 있는 편광필름(POL)을 패널안으로 내장하는 쪽으로 연구개발을 하고 있다"고 했다. 터치스크린, 편광필름을 모두 패널에 내재화하면 두께가 기존보다 85~90% 줄게 된다. '미래 디스플레이와 핵심 기술'이라는 주제로 한 이날 발표에서 김 전무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외에 자동차 전장부품, 가상·증강현실(VR·AR)에서의 디스플레이 적용에 필요한 핵심기술에 대한 설명을 이어갔다.  김 전무는 "미래 디스플레이는 여러 분야(creative applications)에서 다양한 디자인(innovative design)으로 실제와 같은 화면(super immersion)을 구현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