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카오 카지노

LG전자 휴대폰 사업부, 특허는 보유

휴대폰 사업 철수하며 특허는 보유로 결정 매각 등 특허 활용안은 1년여간 검토 전망

2021-05-26     이기종 기자
LG전자

휴대폰 사업에서 철수한 LG전자가 관련 특허는 보유하기로 결정했다. 특허 매각을 포함한 활용안이 구체화하려면 1년여 검토가 필요할 전망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지난달 초 휴대폰 사업 철수를 결정하면서 관련 특허는 보유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파악됐다.

업계 관계자A는 "LG전자 경영진이 휴대폰 사업을 정리하면서 특허는 보유하기로 결정했다"며 "사업 철수 결정을 내린지 얼마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은 특허를 매각할 단계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는 "경영진이 특허 보유를 결정했기 때문에 회사 내부에서 1년여간 특허 활용을 극대화할 방안을 찾고 또 다시 경영진 의사결정을 거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양한 방안을 시간을 두고 검토한 뒤 경영진 승인을 받아야 특허 처분 등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최근 알려진 국내외 업체의 LG전자 특허 매입 타진은 단순 탐색 과정으로 보인다. 매물로 나오지 않은 특허를 매입하긴 어렵다.

LG전자는 스마트폰을 만드는 MC(Mobile Communications) 사업부가 부진했지만 연구개발과 기술력이 우수해 통신 특허 등에 국내외 제조사나 특허관리전문기업(NPE) 등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무산되긴 했지만 독일 폭스바겐도 LG전자 특허와 연구인력에 관심을 보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완성차 업계도 전장화 확대로 특허를 보완해야 한다.

LG전자는 앞으로 전장 사업 추진 과정에서 특허 공격을 받으면 기존 특허를 반격에 사용할 수 있다. 통신표준특허는 로열티가 꾸준히 들어온다. LG전자는 7월 자동차 부품 업체 마그나 인터내셔널과 전기차 파워트레인(동력전달장치) 분야 합작법인을 설립한다. 지난 2018년에는 오스트리아 차량용 프리미엄 헤드램프 기업 ZKW를 인수했다.

한편 LG전자 특허 처분 가능성에 대해 '국익'을 앞세워 반대하는 프레임이 LG전자 협상력을 낮추고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의견을 내놓는 이들도 있다. 

업계 관계자B는 "LG전자가 특허를 매각할 경우 '삼성 등 국내 업체 공격에 해당 특허가 사용될 수 있다'거나 '기술이 해외로 유출된다'는 반대 주장이 대표적"이라며 "LG전자 특허가 위협이 되는 업체라면 해당 특허를 매입하면 된다"고 말했다. 그는 "국익을 앞세운 프레임이 LG전자 선택지를 좁혀 실제 매각을 결정해도 LG전자 협상력이 떨어질 수 있다"며 "특허는 회사 자원을 투입한 산업재산권이고 특허 유지에도 막대한 비용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동시에 LG전자가 고부가 특허를 중국 업체에 대량 매각할 가능성은 낮다는 전망도 있다. 관계자C는 "미국과 거래가 많은 LG전자가 중국 업체에 고부가 특허를 대량 매각하기 어렵다"며 "LG전자도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현실적 제약을 알고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LG전자는 지난달 29일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특허는 스마트 가전과 사물인터넷(IoT) 기반 신제품 개발 등에 활용할 예정"이라며 "휴대폰 특허는 차량용과 커넥티비티 핵심 기술이어서 VS(Vehicle Component Solutions) 사업본부 텔레매틱스, 인포테인먼트 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현재 휴대폰 사업 종료 단계여서 특허 자체를 활용하는 새 사업 모델을 아직 구체화하지 않았다"면서도 "다양한 가능성을 검토 중이고 구체화하면 시장과 소통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LG전자는 지난달 5일 휴대폰 사업을 7월 31일자로 종료한다고 발표했다. MC 사업부는 지난 2015년 2분기부터 지난 1분기까지 24분기 연속 적자였다. 누적 적자는 5조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