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성능 확보 위해선 덴드라이트 문제 해결 必"
한국자동차공학회 '전기차 배터리 충전 표준 기술' 웨비나 열어
2021-07-09 양태훈 기자
"현재의 배터리 기술은 양산성을 확보하면서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 위해 얼마나 많은 니켈을 함양할 수 있냐가 관건이다. 궁극적인 솔루션으로 전고체가 주목받고 있지만, 전고체 배터리 역시 완벽하지는 않다. 여전히 덴드라이트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
정부가 차세대 배터리 조기 상용화를 목표로 'K-배터리 발전 전략'을 발표한 가운데 배터리 성능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한 덴드라이트 해결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최웅철 국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9일 한국자동차공학회가 주최한 '전기차 배터리와 충전 표준 기술 교육' 웨비나에서 미래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위한 과제로 '덴드라이트 해결'을 지적했다. 덴드라이트(Dendrite·수지상결정)는 리튬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음극 표면에 쌓이는 나뭇가지 모양의 결정체를 말한다. 이는 리튬의 이동(음극↔양극)을 방해해 배터리 성능을 저하시키고, 분리막을 훼손시켜 배터리 수명과 안전성을 떨어트리는 문제를 일으킨다. 최웅철 교수는 "덴드라이트는 배터리 충·방전 과정에서 음극 표면에 쌓이는 SEI(Solid Electrolyte interphase·고체 전해질 계면)가 부서지면서 발생하는데 아직까지 어떤 물질이 어느 위치에서 어떻게 덴드라이트를 형성하는지 이론이 없다"며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것은 SEI가 부서지면 내부저항이 증가하면서 온도 상승과 에너지 용량이 떨어진다는 것과 충전 시 덴드라이트가 배터리의 노화를 일으킨다는 것뿐이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