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카오 카지노

"1131조 자율주행차 시장 잡기엔 국내 기술력도, 정책지원도 미흡"

'제18회 자동차산업발전포럼' 에서 전문가들 지적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 위한 완성차·IT 기업 협업 중요 국내 기업 역차별 자율주행 규제 개선 필요

2021-09-15     양태훈 기자
15일

글로벌 자율주행차 시장 규모가 오는 2035년 1조1204억달러(약 1311조원)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 기업의 기술력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규제완화 등 정부의 자율주행차 육성 전략 부재도 문제로 꼽혔다. 국가전략기술에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기술을 포함해 연구·개발(R&D) 및 시설투자에 대한 세제지원을 확대하고, 자율주행 시범 운행지구를 확대하는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러시치본부장은 15일 온라인으로 열린 '제18회 자동차산업발전포럼'에서 "초연결·자율주행·차량공유·친환경(CASE)로 불리는 변화가 자동차산업에서 나타나고 있는데, 향후 자율주행 기반 차량공유로 인적·물적 수송이 함께 이뤄지는 서비스형운송(TaaS) 3.0이 구현될 것"이라며 "문제는 우리나라의 경쟁력이 미국과 중국보다 아주 열위에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고 본부장은 "중국에는 480개가 넘는 전기차 회사가 있으며, 일본 도요타는 미국 우버와 리프트의 자율주행사업을 인수하는 등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며 "반면 현대차는 자체 기술력이 부족해 모셔널과 협력해 외부로부터 기술력을 확보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이 스마트폰, 스마트 가전에서 빠른 추격으로 시장을 선점했듯이 자율주행도 속도를 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글로벌 회계·컨설팅 업체 KPMG에 따르면 전세계 자율주행 시장은 연평균 41%씩 성장해 2035년에는 1조1204억달러로 커질 전망이다. 고 본부장은 자율주행차 시장 성장에 따라 로봇, 중장비, 농기계, 전술 무기,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등 자율주행 기반의 산업 저변이 확대될 것으로 예측했다.

그는 "특히 테슬라의 경우 모델3와 모델Y부터 로드스터, 사이버트럭 등으로 라인업을 확대하고, 전기차 생산시설에 대한 투자비용을 기존 대비 65%가량 절감하는 등 규모의 경제를 만들기 시작했다"며 "테슬라가 모델S 플레이드를 통해 확보한 모터 와이어링 기술은 제로백 2초를 실현한 고효율 기술로, UAM에도 적용할 수 있어 위협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테슬라는 2만5000달러 짜리 초저가 전기차 모델2에 공유서비스를 접목해 소비자가 1만달러의 구독료를 내면, 1년에 3만달러의 수익을 거둘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도 준비 중"이라며 "국토부가 2025년 UAM 상용화 로드맵을 내놨지만, 국내 완성차(현대차, 기아) 업체들과 IT 기업들의 협력 없이는 자율주행 시장을 내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사진=한국자동차연구원

김문식 한국자동차연구원 자율주행센터장은 국내 완성차 업계와 IT 기업의 협업을 위해 정부의 규제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내 완성차 및 부품업체들도 모빌리티 산업으로의 변화를 추구하고 있으나 해외보다 부품·시스템 개발과 모빌리티 서비스 활성화는 미진한 상황"이라며 "자율주행은 다양한 산업의 융합기술이 필요한 분야로, 안전제어기술 및 복잡한 주행시나리오 등을 위한 평가기술과 새로운 서비스모델 발굴 등이 필요해 국가 차원의 투자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김 센터장은 또 "자율주행차 법규와 관련해 오히려 국내 기업들이 역차별을 당하고 있다"며 "예컨대 자동주차 기능과 관련해 테슬라 차량은 스마트호출 기능을 통해 60미터(m)까지 원격주차가 가능하지만, 현대차의 제네시스는 6미터 안에만 자동주차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도 미래 자율주행차 산업을 위한 정부의 총체적 지원을 주문했다. 

정 회장은 "지난 6월 발표한 국가전략기술에 자율차 등 미래차 핵심기술이 제외된 것은 문제로, 기술개발 불확실성이 있는 자율차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기업들의 투자 지속을 위해서 국가전략기술에 포함해야 한다"며 "자율차 핵심기술인 인공지능(AI) 기술 확보를 위해 국내 외국인 유학생을 활용한 고급 인력 확보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중국 정부의 전폭적 지원을 받는 바이두는 베이징, 광저우 등에서 로보택시 상용서비스를 시행, 2023년부터는 30개 도시에서 로보택시 3000대를 운영할 계획"이라며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확대, 자율주행서비스의 네거티브 규제전환, 자율차에서 취득되는 영상정보 활용 규제 완화 등의 규제 개선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