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카오 카지노

"혹시 배터리도?"…미국의 반도체 기밀정보 제출 요구에 긴장하는 배터리업계

반도체와 달리 배터리 산업은 원자재 중요도 매우 높아 현재로선 정보공개 요구 가능성 낮다는 관측 우세

2021-09-28     이상원 기자
배터리

미국이 '칩 쇼티지' 문제 해결을 위해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에 영업정보 등 기밀사항 공개를 압박하는 가운데, 다른 산업에도 압박이 가해질지에 관심이 쏠린다. 특히 최근 급성장하는 배터리 업계의 긴장감이 높다. 주요 선진국이 중국 등의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배터리 산업 관련 '로컬리즘'(자체 공급망 강화) 움직임을 보여서다. 

국내 배터리 업계에서도 미국의 정보공개 압박이 있을 경우, 중국 의존도가 높은 산업 특성상 큰 부담이 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다만 현재로선 배터리 분야에까지 미국 정부의 압박이 가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28일 산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 기술평가국은 삼성전자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에 자발적인 정보공개를 요구했다. 반도체 업계는 경영 전략이 노출될 수 있어 난감하다는 반응이다. 만약 이러한 요구가 배터리 업계에도 향한다면 중국 의존도가 높은 산업 특성상 큰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다. 니켈·코발트 등 배터리 원자재의 상당수가 중국·호주 등 특정 국가에 매장돼 있기 때문이다.

국내 배터리 소재 업체들은 원재료의 대부분을 생산하는 중국 기업들과 합작투자 방식으로 조달하고 있다. 에코프로비엠은 중국 GEM과 합작사인 에코프로GEM을 설립해 오는 2023년까지 17만6000톤의 전구체를 공급받는다. 포스코케미칼은 중국 화유코발트와 합작사를 설립해 양극재와 전구체 생산공장을 각각 3만5000톤 규모로 증설할 예정이다.

다만 미국의 압박으로 국내 배터리 기업과 중국과의 관계가 틀어질 일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국내 업계 관계자는 "미·중 외교 갈등이 항상 이성적으로 흘러가지는 않아서 단언할순 없는 부분이지만, 미 정부가 원자재 중요도가 높은 배터리 분야에 중국과의 관계를 제한하라고 요청할 가능성은 극히 낮을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이 관계자는 "중국의 배터리 원자재 의존도가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중국에서 원자재를 공급받지 않는다고 해서 당장 배터리 생산이 중단되는 수준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현재 증가하고 있는 전기차 생산 규모와 비교해볼 때 배터리 생산 규모가 작은 것이지, 공급망 관리 차원에서 보면 배터리 생산 캐파보다 원자재 공급 캐파가 더 크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국내 배터리 셀 생산 업체들은 자발적인 소재 확보에 나섰다. LG에너지솔루션은 중국 그레이트파워, 호주 오스트레일리안마인즈 등에 투자해 2023년부터 니켈 16만톤, 코발트 1만4000톤을 공급받는다. SK이노베이션은 에코프로비엠과 10조원대 양극재 공급 계약을 맺었으며, 폐배터리 재활용(Recycle) 사업을 통해 원자재 수급 방법을 다양화하고 있다. 삼성SDI는 헝가리를 중심으로 전반적인 배터리 공급망을 구축하는 중이다.

국내 소재 업체들도 국내 생산 캐파를 늘리며 해외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다만 국내 캐파가 증가하는 것보다 배터리 수요 증가폭이 더 커서 당분간 배터리 원자재의 해외 의존도를 낮추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