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김영섭 대표 내정자, 첫 업무 ‘고강도 구조조정’ 불가피…범위는?

대표 선임 지연, 정기인사 미실시…그룹사 포함 임원 수백명 사정권 통신 공공성·DX 강화 숙제…정부와 관계 설정도 관전포인트 8월30일 임시 주총…주총 참석 의결권 주식 60% 이상 동의 필요

2023-08-07     윤상호 기자
KT가 차기 수장으로 김영섭 전 LG CNS 대표를 낙점했다. 그의 첫 과제는 8개월에 걸친 대표이사 선임 관련 혼란을 수습해야 한다. KT의 통신사업 경쟁력 입증과 디지털 전환(DX) 시대 성장동력 마련도 숙제다. 지난 4일 KT 이사회는 김영섭 전 LG CNS 대표를 차기 최고경영자(CEO)로 확정했다. KT는 오는 30일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김 내정자를 대표로 추인할 예정이다. 주총 참석 의결권 있는 주식 60% 이상 및 발행 주식 총수의 25% 지지가 있어야 한다. 임기는 2년 7개월이다. 2026년 3월 정기 주총까지다. 연임 제한은 없다. 김 내정자는 1959년생이다. 경북 출신으로 고려대 경영학과를 나왔다. LG에서 경영 경력을 쌓아왔다. 재무 업무에 강점이 있다. 럭키금성상사로 입사해 ▲LG 회장실 감사팀 부장 LG ▲구조조정본부 재무개선팀 부장 및 상무 ▲LG CNS 경영관리본부 상무 및 부사장 ▲LG CNS 하이테크사업본부 부사장 ▲LG CNS 솔루션사업본부 부사장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CFO)를 거쳐 2016년 3월부터 2023년 3월까지 LG CNS 대표이사 사장으로 재직했다. 그의 첫 관문은 임시 주총 통과다. KT는 작년 12월부터 이번 대표 선출을 두고 내우외환을 겪었다. 구현모 전 대표가 연임을 추진했지만 성사하지 못했다. 공모를 통해 결정한 윤경림 전 KT 사장은 지난 3월 정기 주총 직전 사퇴했다. 이 과정에서 ▲정부 ▲여당 ▲주주 의견이 갈렸다. 주주의 경우 다수 지분을 보유한 ▲국민연금 ▲현대차그룹 ▲신한은행과 외국인 주주 및 소액주주 의견도 달랐다. KT 내부를 지적한 ‘이권 카르텔’과 KT 외부를 걱정한 ‘낙하산’ 우려가 혼재했다. 이 때문에 KT는 대표 동의에 필요한 주총 참석 의결권 있는 주식 수를 50%에서 60%로 상향했다. 정당성 확보 차원에서다. ▲국민연금 ▲현대차그룹 ▲신한은행 등의 지분율은 20%대 초반이다. 외국인 지분율은 40%에 조금 못 미친다. 어느 한쪽이 일방적으로 안건을 밀어붙이기 부담스러운 구조다. 지난 3월 윤 전 사장이 정기 주총 직전 대표 후보에서 물러난 이유는 정기 주총 통과를 자신할 수 없었던 것도 컸다. 다만 지난 6월 임시 주총에서 이번 대표 선임을 좌우할 사외이사 선출이 모두 원안대로 승인을 받은 것은 긍정적이다. 김 내정자가 정식 CEO가 되면 KT는 인사 태풍이 불가피하다. KT는 대표 선출 지연으로 올해 정기인사를 실시하지 못했다. 승진도 퇴임도 뒤로 미뤘다. 그룹사도 마찬가지다. 예년을 감안하면 대상자는 수백여명에 달한다. 현재 KT 임원은 연말까지 재계약을 했지만 신임 CEO 취임 후 재신임 절차를 밟기로 해 둔 상태다. 인사 혁신은 사업 구조조정을 수반한다. 그의 전공과 LG CNS 및 LG유플러스에서의 행보를 고려하면 규모가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그동안 KT는 비 KT 대표 출신이 CEO로 왔을 때 변화가 컸다. 이석채 전 대표는 사내 전산 전환 프로젝트 등을 정리했다. 황창규 전 대표의 재무적 부실을 털어내는 ‘빅배스(Big bath)’를 단행했다. 내부 정비가 끝나면 앞으로 나갈 준비를 해야한다. 구 전 대표 시절 KT는 ‘디지코(DIGICO) KT’를 표방했다. 통신사에서 DX 회사로 전환이다. 김 내정자가 몸담았던 경력과 흐름은 같다. 누구를 중용하고 어떤 사업을 정리하는지를 살피면 방향성이 보일 것으로 여겨진다. ‘통신사업의 공공성’을 강화하며 신사업 성장을 병행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KT 본업과 별도의 미션도 있다. 정부와 관계 설정이다. KT CEO를 둘러싼 외압 논란이 끊이지 않는 이유기도 하다. 전임 경영진은 물론 KT 민영화 이후 전 경영진이 시달린 문제기도 하다. KT는 2002년 8월 민영화 이후 황창규 전 대표를 제외하고 연임에 성공한 대표가 없다. 황 대표를 포함 연임을 시도한 대표는 모두 사정의 칼날을 피하지 못했다. 대통령이 바뀌면 입지가 불안해졌다. 윤석열 대통령 임기는 2027년 5월까지. 김 내정자가 연임을 할 경우 임기 후반은 새 대통령과 지내야 한다. 디일렉=윤상호 기자 crow@bestwatersport.com

《반도체·디스플레이·배터리·자동차전장·ICT부품 분야 전문미디어 디일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