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 한주엽 디일렉 대표
출연 이수환 디일렉 전문기자
-이수환 기자 모셨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이수환입니다.” -오늘 LFP(리튬인산철) 얘기를 할 텐데. 그전에 광고를 한 말씀 드리겠습니다. 저희가 2월 10일 날. 우리 회사 사옥에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죠. 「리튬인산철 배터리 기회인가 위기인가」라는 주제로 세션 6개짜리 세미나를 오프라인으로 개최를 합니다. 링크를 띄워드릴 텐데. 관심 있으신 분들은 등록해 주시면 고맙겠고요. 유료 세미나입니다. 많은 정보 얻어가시길 바라면서 맛보기로 저희가 왜 위기인지 기회인지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는 겁니다. 지금 LFP 배터리가 뜨는 이유가 뭡니까? “참 여러 가지 이유가 있는데요. 일단 첫 번째로는 삼원계 배터리의 어떤 상대적인 위험성. 일단 화재가 발생하면 걷잡을 수 없이 열폭주가 발생한다는 점 그리고 전기차 보조금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어떤 전기차의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저렴한 배터리에 대한 요구 그리고 배터리 원소재 가격 급등으로 인한 어떤 원가 절감의 한계. 이런 것들이 맞물리면서 리튬인산철 배터리가 주목을 받고 있죠.” -삼원계라고 말씀하셨는데 그게 양극재에 들어가는 재료의 구성을 삼원계라고 한다. “맞습니다. 보통 삼원계 또는 사원계. NCMA라는 말 들어보셨죠?” -지금 삼원계라고 얘기하셨는데 그것은 양극재에 들어가는 주요 재료가 세 가지라서 삼원계인 거죠? “그렇습니다.” -NCM(니켈·코발트·망간). “NCM 같은 경우에는 니켈·코발트·망간의 앞글자를 따서 NCM이라고 부르는 거죠.” -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도 있던데요? “뒤에 알루미늄이 들어가서.” -그건 사원계(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라고. “사원계라고 하긴 하는데. 대충 일종의 어떤 마케팅 성향도 좀 있기 때문에 굳이 그렇게까지 부르지는 않고 그냥 삼원계 배터리다. 보통 그렇게 얘기를 합니다.” -니켈, 코발트, 망간. 세 가지가 들어간다고 해서 양극재의 삼원계 배터리라고 얘기를 하는데. 양극재, 우리가 배터리 하면 네 가지 꼽지 않습니까? “맞습니다. 양극재, 음극재, 전해질, 분리막. 이 네 가지를 배터리 핵심 4대 소재라고 하죠.” -삼원계냐 LFP(리튬·인산·철)냐라고 얘기하는 거는 양극재의 그 NCM이 들어가느냐 아니면 LFP(리튬인산철)이 들어가느냐에 따라서. 그냥 양극재만 바뀌는 거죠? “양극재만 바뀌고요. 나머지 조성도 약간의 차이는 있겠습니다만 가장 크게 바뀌는 건 결국 양극재죠.” -리튬인산철(LFP)이 불이 안 납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오해를 하고 계시는 부분들이 있는데. 리튬인산철이든 삼원계 배터리든 리튬이온 배터리라는 큰 카테고리 내에 있는 배터리가 맞아요. 그리고 이 배터리들은 언제든지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대신에 삼원계 배터리는 양극재 안에 많은 산소가 포함돼 있습니다. 근데 전해질 자체가 어떤 인화성 물질이거든요. 그 인화성 물질이 양극재에 들어 있는 산소랑 만났을 때 걷잡을 수 없이 불이 발생한다는 점이 좀 있고요. 리튬인산철 배터리 같은 경우에는 안에 있는 산소가 잘 빠져나오지 않는 구조로 돼 있어요. 잘 분리가 안 됩니다. 그래서 화학 구조상으로는 리튬인산철 배터리도 불이 나지만 당연히 전해질 자체가 인화성 물질이니까 대신에 삼원계 배터리만큼 갑자기 걷잡을 수 없이 폭발처럼 일어나는 갑자기 이제 가끔 방송에서 보이지 않습니까? 배터리 팩이 부풀어 올라가서 큰 화염이 치솟는 그렇게까지는 불이 나지는 않죠.” -불이 아예 안 나는 건 아니고. “아예 안 나진 않지만 그래도 주고 열폭주라고 하는 그런 현상은 상대적으로 훨씬 덜하고.” -조금 더 안전하다. “상대적으로 조금 더 안전하다.” -그 말씀 하신 거에 따르면 저렴하다고? “저렴하고 또 몇 가지 장점도 더 있습니다. 충·방전 속도가 일단 빠르고요. 충전 속도도 빠르고 수명도 깁니다. 이런 장점들도 좀 가지고 있죠.” -대신에 용량은 좀 적나요? “에너지 밀도가 좀 낮아요. 밀도가 낮아서 이제 보통은 업계에 계신 분들은 전압 얘기를 많이 하시는데. 전압이 좀 낮다 보니까 여러 개의 다발로 배터리를 써야 되는 문제들이 좀 있고 또 어쨌든 또 자원 재활용이라고 할까요? 일단 폐배터리 재활용 측면에서도 삼원계 배터리보다 좀 쓸 수 있는 재료들을 추출해내기가 조금 부족한 부분들이 좀 있죠.” -재활용이 좀 더 어렵습니까? “어렵다기보다는 삼원계 배터리 안에 니켈이나 코발트라는 좀 비싼 광물들이 좀 들어 있잖아요. 인산철 배터리는 막상 분해해서 좋은 재료들을 뽑아내야 되는데 그 비싼 재료들은 별로 없다 보니까 그만큼 어떤 재활용의 어떤 가치 측면에서 좀 떨어지는 부분이 있죠.” -이게 지금 LFP가 확 뜨기 시작한 게 작년에 언젠가 테슬라가 “LFP 배터리를 채용하겠다. 그리고 채용했죠. “채용을 실제로 했고 확대하겠다는 얘기까지 했죠.” -확대하겠다 해서 지금 막 해서 국내 기업들도 지금 연구를 하고 있지 않습니까? “이게 분위기가 저희가 재작년에 이제 테슬라 얘기와 리튬인산철 배터리 얘기를 하면서.” -벌써 재작년입니까? “벌써 재작년이죠. 얘기를 하면서 저게 과연 위험이 될 것인가? 그때 이제 저희가 봤던 관점은 프리미엄만 팔 수 없잖아요. 중저가도 팔고 그리고 일전에도 말씀드렸지만,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가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이든 SK온(SKon) 배터리이든 삼성SDI 배터리든 삼원계든 인산철이든 그게 무슨 상관입니까?” -소비자는 알 수가 없죠. “알 수가 없고 거기에 붙이고 다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자동차 리뷰하시는 분들이야 나중에 전기차가 나오면 “여기는 LG 배터리가 들어갔죠” 이런 얘기를 할 수 있겠죠. “할 수 있지만, 우리가 밖에서 봤을 때는 알 수도 없거니와.”저작권자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