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삼성SDI, 조사위 발표 조목조목 해명
지난해 8월부터 10월 사이에 발생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사고를 두고 정부와 업계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ESS 화재사고 조사단은 6일 조사 결과 발표를 통해 4곳에서 배터리 결함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조사단은 5건의 화재 가운데 4건에서 배터리 분리막 이물질 검출, 음극활물질 돌기 형성, 양극판 접힘 등의 현상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나머지 1건만 급격한 절연성능 저하를 원인으로 지목했다.
업계는 즉각 반발했다. LG화학과 삼성SDI는 곧바로 입장자료를 내고 조사단 발표를 조목조목 해명하며 배터리 결함이 아니라고 정면으로 맞섰다. LG화학은 "조사단이 발견한 양극 파편, 리튬 석출물, 음극활물질 돌기, 용융 흔적 등은 화재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삼성SDI도 배터리에서 나온 이물질은 사용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이고 양극 접힘 현상은 용량 저하를 일으킬 수 있으나 화재 요인은 아니라고 분명히 했다. 삼성SDI는 "왜 배터리가 모든 화재의 원인이라고 생각하는가?" 반문하며 "휘발유도 성냥불 같은 점화원이 있어야 화재가 발생하지 휘발유 자체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조사 과정 자체도 논리적이지 않다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LG화학은 "지난 4개월간 실제 사이트를 운영하며 가혹한 환경에서 실시한 자체 실증실험에서 화재가 재현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삼성SDI는 "조사단 조사 결과가 맞다면 동일한 배터리가 적용된 유사 사이트에서도 화재가 발생해야 한다"며 "운영 데이터는 화재 발생 3개월 전 데이터이며 보호 기능이 정상 작동되지 않았다는 지적은 운영 데이터를 잘못 해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반박했다.
이번 결과에 대해 배터리 자체에만 몰입해 조사가 이뤄진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1차 조사에선 ESS 운영 전반에 대한 문제도 원인으로 지목됐는데 이번엔 배터리 업체만 붙잡고 있다는 인상이 짙다"며 "국내외 배터리 모두 같은 제품인데, 우리나라는 설치와 관리는 물론 운영에 있어 부족한 점이 많다는 점이 반영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일각에선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혼란스러울 때 발표가 이뤄진 것은 대기업을 충분히 압박하는 등 소기의 성과를 거뒀기 때문이 아니냐는 해석도 있다. 조사단 인력에 국회 참모진과 같이 비전문가들이 참가했다는 점에서 처음부터 목적이 있었다는 주장이다.
국내 ESS 화재는 2017년 8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28건이 발생했다. 지난해 6월 정부 조사위의 조사 발표 이후에도 5건의 화재가 더 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