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카오 카지노

UPDATED. 2024-10-17 17:26 (목)
위기의 중소 알뜰폰 업계 대안은 '풀 MVNO'
위기의 중소 알뜰폰 업계 대안은 '풀 MVNO'
  • 이진 기자
  • 승인 2024.06.19 15: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소 알뜰폰 업계는 연초부터 삼중고를 걱정했다. 이통3사가 번호이동 가입자에게 대규모 마케팅 비용을 쏟아붓는 전환지원금 지급을 시작했고, 이통사 자회사와 금융 회사로의 가입자 집중으로 어려움이 컸다. 사실상 불발될 것으로 보이지만, 정부의 제4이통 드라이브 역시 알뜰폰 사업자의 어려움을 가중하는 요소 중 하나였다. 가계통신비 인하 정책의 중심이 제4이통으로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형 사업자로 가입자가 쏠리는 것만 빼면 대부분의 이슈가 기우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통3사의 전환지원금 효과는 극히 미미했고, 제4이통 이슈 역시 주파수 할당 취소 여부를 결정하는 25일 청문회 후 해소될 전망이다. 가입자가 이통사 자회사나 은행 등 특정 알뜰폰 기업으로 몰리는 문제만 해소하면 중소 업체의 숨통이 트일 수 있으며, 그 대안으로 풀MVNO가 거론된다.  

알뜰폰을 소개하는 이미지. 이동통신 재판매의 우리말인 알뜰폰은 기존 이통3사의 망을 빌려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통신서비스를 말한다. (사진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전환지원금 50만원 줘도 번호이동 시장 잠잠

19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3월 단통법 시행령과 고시 개정을 통해 이통3사가 번호이동 가입자에게 추가로 지급할 수 있는 전환지원금을 최대 50만원까지로 확장했지만. 시장에서의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신 서비스에 가입하는 방법은 신규 가입, 번호이동, 기기 변경 등 세 가지 종류로 나뉘며, 전환지원금은 번호이동에 영향을 준다. 이통사에 새로 가입하거나 기기를 변경할 때는 전환지원금을 받을 수 없다.

과기정통부가 최근 발표한 4월말 기준 통신서비스 가입 유형별 현황 자료를 보면, 4월 한 달간 기기 변경을 선택한 고객의 비율은 42.78%로 가장 많았다. 번호이동과 신규 가입 비율은 각각 32.98%와 24.24%였다. 기기변경 비율의 경우 1월 49.54%에서 3월 38.98%로 확 줄어든 경향이 있지만, 4월부터 회복세를 보이며 평소와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 중이다.

기기변경을 선택한다는 것은 기존 이통사에서 제공하는 혜택을 그대로 이어가겠다는 고객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반면 번호이동 가입자 비율은 1월 27.41%에서 4월 32.98%로 소폭 늘었을 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다시말해 전환지원금을 받기 위해 번호이동을 선택한 고객 비율은 예상보다 많지 않았던 셈이다. 

2023년 1월부터 2024년 4월까지의 통신사별 가입자 점유율을 보면, 이통3사의 가입자 비율은 갈수록 줄어들지만 알뜰폰은 매달 꾸준히 늘고 있다. (그래프 이진 전문기자)

전환지원금 지급에 따른 알뜰폰 고객이 이통3사로 이탈하는 경향 역시 크지 않았다. 4월말 기준 휴대폰 회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체 회선 5617만 7422개 중 알뜰폰 가입 회선은 921만 735개(16.4%)다. 1년 전 같은 기간 13.94%였던 것을 감안하면 1년새 2.46%포인트 늘었다. 월 평균으로 따지면 0.18%포인트씩 증가한 셈이다.

이통3사가 전환지원금 지급을 시작한 3월말 기준 알뜰폰 점유율은 16.32%였고 4월 16.4%이니 한 달 증가율은 평균보다 0.1%포인트 작은 0.08%포인트다. 하지만 여전히 플러스 행진 중이다. 

통신사 고위 관계자는 "이통사는 최근 기존 가입 고객을 잡아두는 집토끼 지키기 전략을 펴고 있으며, 가족결합을 통한 할인 등이 고객을 락인하는 데 영향을 준다"며 "단통법 시행 전 같으면 전환지원금 지급 후 번호이동이 늘어났겠지만, 요즘은 그런 분위기는 아니다"고 말했다.  

풀MVNO가 이통 자회사와 은행권 질주 막을 대안

제4이통 출범이 무산된 것도 알뜰폰 업계에 호재로 작용한다. 

과기정통부는 15년째 가계통신비 인하 핵심 정책으로 알뜰폰을 밀었지만, 신규 이동통신 사업자 출범을 통한 통신 경쟁 활성화를 고심했다. 메기 사업자를 제4이통으로 키워 통신 시장에서의 경쟁에 불을 지피겠다는 계획이었다. 제4이통을 전략적으로 키운다는 말은 기존에 정책적 혜택을 누렸던 알뜰폰 업계에 악재였지만, 사실상 불발된 만큼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 

이통 자회사와 KB 리브엠은 알뜰폰 시장에서 53% 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그래프 이진 전문기자)

다만, 이동통신사 자회사와 은행 업계가 알뜰폰 시장을 장악해 나가고 있는 만큼 장기적 관점에서 개선해야 한다. 올해 2월말 기준 SK텔링크, KT 엠모바일, KT스카이라이프, LG헬로비전, 미디어로그 등 이통 자회사의 알뜰폰 시장 점유율은 48.59%, KB금융의 리브엠이 차지한 시장은 4.46%에 달한다. 나머지 반도 되지 않는 시장을 80여 알뜰폰 업체가 나눠 먹는 형국이다. 

통신업계 전문가들은 중소 알뜰폰 기업의 성장을 위한 발판으로 풀MVNO(자체 설비를 보유한 알뜰폰) 사업자를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중소 알뜰폰 사업자의 가장 큰 어려움은 경쟁력 있는 요금제 설계가 힘들다는 점이다. 이통사 자회사나 은행 등이 알뜰폰 시장에서 막강한 경쟁력을 보이는 것은 자본력을 십분 발휘해 만든 요금제 영향이 크다.

풀MVNO 사업자는 알뜰폰 사업자 대신 이통사와 망 도매대가 협상을 한다. 대량으로 구입한 데이터 등은 사업자가 원하는 만큼 도매가로 판매하며, 중소 업체가 어려움을 겪는 고객 관리 시스템이나 빌링 시스템 등도 대신 구축해 준다. 중소 업체 입장에서는 요금제 설계에 자율성을 갖게 되며, 이는 경쟁력 강화로 이어진다.

알뜰폰 업계 한 관계자는 "이통사와 망 도매대가를 논의할 때 개별 기업이 아닌 규모의 경제를 갖춘 풀MVNO 사업자가 나설 경우, 기존보다 30~40% 수준의 가격으로 도매대가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한다"며 "풀MVNO와 계약한 알뜰폰 사업자는 저렴한 가격에 상품 설계를 할 수 있고, 이는 이통 자회사나 은행 등이 주축인 현재의 알뜰폰 시장을 바꿀 힘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제4이통 관련 잡음으로 시끄러운 과기정통부 입장에서도 나쁠 게 없다. 알뜰폰을 통한 통신 시장 경쟁 활성화가 이뤄질 경우, 기존 통신 시장의 주축인 이통3사가 마케팅 경쟁을 펼치는 데 명분을 줄 수 있다. 이는 가계통신비 인하로 이어진다.

강도현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14일 열린 스테이지엑스 주파수 할당 법인 취소 관련 브리핑 자리에서 "알뜰폰은 과기정통부의 유력한 정책 중 하나며, 알뜰폰 사업과 관련한 여러 이슈를 세부적으로 살펴보고 있다"며 "통신경쟁 활성화 정책을 통해 발표한 것처럼, 알뜰폰을 활성화하겠다는 것은 과기정통부의 공고하고 변함 없는 방향이다"고 말했다.

디일렉=이진 전문기자 [email protected]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515 (아승빌딩) 4F
  • 대표전화 : 02-2658-4707
  • 팩스 : 02-2659-470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수환
  • 법인명 : 주식회사 디일렉
  • 대표자 : 한주엽
  • 제호 : 디일렉
  • 등록번호 : 서울, 아05435
  • 사업자등록번호 : 327-86-01136
  • 등록일 : 2018-10-15
  • 발행일 : 2018-10-15
  • 발행인 : 한주엽
  • 편집인 : 장지영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All rights reserved. mail to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