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9-13 16:59 (금)
[주간 뉴스브리프] SK온, 26개 직무별 신입사원 채용 外
[주간 뉴스브리프] SK온, 26개 직무별 신입사원 채용 外
  • 이도윤
  • 승인 2023.05.26 11: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SK온, 26개 직무별 신입사원 채용

SK온이 신입사원 채용에 나선다고 지난 25일 밝혔다. 지난해 말 신입사원 채용을 진행한 지 6개월 만이다. SK온은 다음달 6일까지 공식 채용사이트를 통해 ‘신입사원 수시채용’을 실시한다. 채용분야는 ▲연구개발 ▲엔지니어 ▲경영지원 등 3개 부문 총 26개 직무다. SK온은 미국과 유럽 등 해외 생산거점이 많고, 글로벌 경제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배터리 산업에 걸맞게 글로벌 업무 수행 역량을 갖춘 인재를 찾고 있다. 스펙 중심 평가 방식을 탈피하고, 지원자의 직무 역량을 집중적으로 검증할 예정이다. 이와 별개로 SK온은 다음달 4일까지 ‘R&D 박사 산학장학생’ 선발을 위한 전형도 진행 중이다. 모집분야는 ▲선행·소재개발 ▲선행공정개발 ▲Cell개발 ▲System개발 ▲차세대배터리개발 등 5개 부문 21개 연구 분야다. 최종 합격자는 대전 배터리연구원에서 근무하게 된다. 신입사원과 산학장학생 선발 과정은 똑같다. 지원자들은 서류 전형을 통과하면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필기, 면접 전형을 거쳐 채용 검진 후 최종 합격한다. 최종 합격자 발표는 신입 채용의 경우 8월 중, 산학장학생은 6월 중 각각 이뤄진다.  

◆ 서울반도체, 디스플레이위크 2023서 2세대 LED 기술 공개

서울반도체는 지난 25일까지 열린 SID(국제정보디스플레이학회) '디스플레이 위크(Display Week) 2023'에서 ‘와이캅 픽셀 (WICOP Pixel)’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눈 건강 위한 LBL(Low Blue Light) 등의 미래 디스플레이용 2세대 LED 기술을 공개했다. ‘와이캅 픽셀’은 세계 최초의 풀컬러 원칩(Full Color One-Chip) 기술이다. 와이어, 패키지, 렌즈가 필요없는 와이캅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한 RGB 3개의 마이크로 LED를 수평이 아닌 수직으로 쌓아 올렸다. 이러한 적층 구조는 초소형 칩 제작을 가능케 하며, 균일한 컬러 표현은 물론 기존 마이크로LED 소자 대비 3배 우수한 블랙감을 표현할 수 있다. 'LBL’ 디스플레이도 선보였다. 자체 형광체 기술을 적용해 눈에 해로운 블루파장(415~455nm)을 최소화한 눈 건강 디스플레이용 LED 기술이다. 기존 LBL 기술은 블루라이트를 줄이기 위해 별도의 필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화면이 누렇게 왜곡되는 큰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서울반도체 LBL 기술은 필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눈 건강에 해로운 블루라이트를 줄이고, 선명한 화질의 영상을 즐길 수 있다.  

◆ 로크웰 오토메이션, 성일하이텍과 하이드로센터 제3공장 자동제어시스템 공급계약 체결
 

글로벌 산업 자동화 및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문기업인 로크웰 오토메이션(Rockwell Automation)은 성일하이텍과 하이드로센터 제3공장 건립을 위한 자동제어시스템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하이드로센터 제3공장에 폐배터리 재활용 시스템 구축을 위한 자동화 솔루션 및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또, 전기차 증가에 대비한 배터리 재활용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하이드로센터 제3공장은 로크웰 오토메이션과 함께 DCS 및 설비들을 통합해 자동화를 구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휴먼 에러 감소 ▲시스템 자동화를 통한 운영 효율성 제고 ▲제조기록서 디지털화로 규정 보고와 준수 편의성을 제고해 글로벌 기준을 충족하는 생산 환경과 시스템을 갖출 전망이다. 양사는 이번 시스템이 이차전지 원료 재공급 자원순환 모델을 구축하는 데 기여하고, 궁극적으로는 EV 배터리 폐기물의 환경적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강명 성일하이텍 대표는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자동화 솔루션과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폐배터리 재활용 솔루션을 갖춘 하이드로센터 제3공장을 건설할 수 있게 되었다”며 “지속가능한 자원 선순환 시스템을 구축하고, 안정적인 배터리 소재를 공급하여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배터리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용하 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 대표는 “배터리 시장은 해마다 성장하여 2030년에는 지금보다 6배 가량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폐배터리 재활용은 업계의 주요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며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배터리 산업 및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프로젝트에 필요한 전문적인 자동화 솔루션과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고 밝혔다.  

◆  VESA, ‘어댑티브-싱크 디스플레이 표준 버전 1.1’ 발표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는 어댑티브-싱크 디스플레이 표준을 업데이트한 신규 버전을 최근 내놨다. 어댑티브-싱크 디스플레이 CTS는 가변 주사율(variable refresh rate, VRR) 디스플레이의 FOS(front-of-screen) 성능에 관한 최초의 공개 표준이다. 업데이트된 규격인 어댑티브-싱크 디스플레이 버전 1.1은 보다 포괄적이며 엄격한 테스트가 특징이다. 회색-대-회색(G2G) 테스트를 5x5 테스트 매트릭스에서 훨씬 더 큰 9x9 테스트 매트릭스로 확대, G2G 테스트 시나리오 수가 세 배 이상 늘어났다. 또한 과구동(overdrive)이 가능하도록 설정했을 때 고정 비율의 오버슈트 및 언더슈트 한계를 지각 양자화(Perceptual Quantization, PQ) 값에 근거한 한계로 교체했다. 이로써 사람이 느끼는 빛에 대한 감도를 더 잘 반영할 수 있다.   

◆ 네덜란드 ASM, 화성 제2제조연구혁신센터 기공식 개최

글로벌 반도체 장비회사 ASM은 지난 24일 경기도 화성 제2제조연구혁신센터의 기공식을 개최했다. 기공식에는 김동연 경기도지사, 정명근 화성시장, 김완기 산업통상자원부 무역투자실장, 양향자 국회의원, 김경희 화성시의회 의장, 신미숙 경기도의회 의원 등이 참석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코트라 인베스트코리아 관계자 등도 참석했다. 현재 ASM 화성 연구 개발·제조 센터는 약 2만㎡ 규모로, 이번 중축으로 3만1000㎡ 규모의 8층 건물이 새롭게 추가된다. 시설 확장에 따라 ASM 한국 내 직원 수도 점차 늘어날 전망이며, ASM 화성 시설의 연구개발 공간은 두 배 이상, 제조 공간은 세 배 가까이 확장된다.  벤자민 로 ASM CEO는 기공식에서 “경기도 화성 시설은 한국 주요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ASM 플라즈마원자층증착(PEALD) 사업을 위한 글로벌 센터이기도 하다"며 "원자층 증착(ALD) 갭 필 기술과 같이 ASM 한국 R&D팀에서 개발한 기술은 전 세계에서 가장 발전된 반도체 제조에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 사쟌 진달 JSW 회장과 미래 협력 강화 논의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지난 21일 인도 JSW 비자야나가르 제철소 방문 후 사쟌 진달(Sajjan Jindal) 회장을 만나 친환경 철강 기술 및 미래 성장사업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최 회장은 사쟌 진달 회장에게 포스아트로 제작한 감사패를 전달하고 "지난해 태풍 힌남노 피해 복구 작업 당시 사쟌 진달 회장께서 JSW 열연공장용으로 제작 중이던 설비를 포스코에 선뜻 내줘 제철소 복구 일정을 크게 앞당길 수 있었다”고 말했다. 사쟌 진달 회장은 "양사 간 협력을 지속 확대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양사 회장은 이번 교류를 통해 소재 구매, 철강기술 등 전통적 사업 협력 뿐 아니라 탄소중립과 수소, 이차전지소재를 포함한 미래 성장사업에 대한 포괄적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포스코는 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 생산의 최적지로 평가받고 있는 인도를 수소환원제철을 위한 HBI(Hot Briquetted Iron) 생산지 후보로 검토 중이다.   

《반도체·디스플레이·배터리·자동차전장·ICT부품 분야 전문미디어 디일렉》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515 (아승빌딩) 4F
  • 대표전화 : 02-2658-4707
  • 팩스 : 02-2659-470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수환
  • 법인명 : 주식회사 디일렉
  • 대표자 : 한주엽
  • 제호 : 디일렉
  • 등록번호 : 서울, 아05435
  • 사업자등록번호 : 327-86-01136
  • 등록일 : 2018-10-15
  • 발행일 : 2018-10-15
  • 발행인 : 한주엽
  • 편집인 : 장지영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All rights reserved. mail to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