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화 율촌화학 등과 협력
일본이 한국을 수출 심사 우대국(백색국가)에서 제외한 수출무역관리령을 예정대로 진행한 가운데, 국내 배터리 업계 1위인 LG화학은 국산 배터리 파우치 필름이 일본산과 비교해 품질은 떨어지고 가격이 비싸다며 대체가 쉽지 않음을 내비쳤다. 다만 국내 업체들과 꾸준히 협력하며 국산화를 추진한다.
김명환 LG화학 사장(배터리연구소장)은 28일 코엑스에서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 주최 ‘KABC 2019’ 콘퍼런스에서 “일본 DNP, 쇼와덴코에 배터리 파우치 필름을 의존했는데 국내 업체는 품질에 대한 자신감이 떨어지고 가격도 일본보다 비싸다”며 “국적불문하고 가격과 품질이 좋은 제품을 써야 했지만, 앞으로는 국내 업체 제품으로 대체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율촌화학, 한국알루미늄 두 곳을 언급했다. LG화학은 이미 율촌화학 배터리 파우치 필름을 테스트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원하는 만큼 성능이 나오지 않았다. 내부 평가 등급을 만족시키지 못했다. 최소한 2~3년은 걸려야 대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일본 정부가 한국을 백색국가에서 제외했지만 당장 배터리 파우치 필름 수급에는 지장이 없다고 분석했다. 김 사장은 “DNP와 쇼와덴코 모두 자율준수프로그램(ICP) 기업이라 일본 정부의 원칙대로라면 (수급) 문제가 없다”면서도 “향후 어떻게 될지 몰라 국산화는 계속 추진하고 가능성을 염두에 둘 것”이라고 설명했다.
배터리 파우치 필름은 일본 업계가 전 세계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내부 소재를 안전하게 담고 외부 이물질에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발열에도 영향을 끼쳐서 어떤 제품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안정성에 차이를 보인다. 국내에서 전기차(EV) 등에 사용되는 중대형 배터리 가운데, 파우치형 배터리를 만드는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이 일본에 100% 의존하고 있다.
한편 김 사장은 외신을 통해 테슬라에 원통형 배터리를 공급했다는 보도에 대해 “고객사 언급은 할 수 없다”며 말을 아꼈다.
SK이노베이션과의 소송전 배경 가운데 하나로 엔지니어에 대한 동종업계 대비 낮은 처우 때문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SK이노베이션은 (이 자리에서) 언급할 수 없다”면서도 “젊은 엔지니어들이 열정이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SK이노베이션 배터리 경력직 모집에 다수의 LG화학 연구원이 지원하면서 처우 문제가 불거진 바 있다. 이에 대해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7월 열린 기자회견에서 기업문화 개선과 함께 처우 복지 개선에 나서겠다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