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가 LTE, 5G에 이어 세계 최초 6G 상용화에 드라이브를 건다. 빠르면 2029년 6G 상용화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통신 분야를 선도하는 국가라는 타이틀 획득에 나선다.
하지만, 통신업계 셈법은 복잡하다. 종전 통신방식 때처럼 전국 기반으로 6G 상용화를 할 수 있지만, 비즈니스 환경 등 종합적 판단을 할 때 어려운 결정이다. 이통사는 2019년 5G 상용화 당시 주요 거점 중심으로 통신망을 설치했는데, 5G가 아닌 LTE로 대부분의 지역을 커버하며 소비자 불만을 키웠다. 설익은 5G 통신망 이슈로 제기된 소송은 현재도 끝나지 않았다. 기술 선도를 위해 고객 신뢰라는 핵심 가치에 흠집이 났다. 이통사는 핫스팟 중심의 6G 상용화를 대안으로 내세웠다.
15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ICT 분야 주무 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4일부터 6G 표준 선점을 위해 산학연관 중심의 '6G 소사이어티'를 가동 중이다. 6G 소사이어티는 6G 포럼과 위성통신 포럼이 주관하며, 6G 이동통신·위성통신 분야 산·학·연 관계자 30여명 이상이 참여했다. 6G는 이동통신과 위성통신이 맞물려 돌아가야 한다. 정부는 두 기술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6G 표준 개발 초기부터 단체를 하나로 모았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6G 표준 선점과 발 빠른 상용화 기술 확보를 위해 산·학·연·관의 결집이 중요하다"며 "정부는 6G 시대 통신 강국의 위상을 이어 나갈 수 있도록 차질 없는 연구개발(R&D) 사업 추진과 함께 지상(이동통신)과 위성(위성통신) 협력의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할 것이며, 의견 청취 과정을 거쳐 정책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것이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가 고심하는 6G 상용화 시기는 빠르면 2029년이다. 2019년 세계 최초로 5G를 상용화했던 경험을 6G에 그대로 녹여내겠다는 복안이다. 윤석열 대통령의 임기는 2022년 5월 10일부터 2027년 5월 9일까지다. 6G는 차기 정부의 정권 중반기 핵심 과제가 될 가능성이 높으며, 전국망 관련 상용화 드라이브가 상당할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통 업계는 6G 표준 개발에 긍정적인 시그널을 보인다. 전 세계 통신 기술을 선도하는 기업이라는 명성이 중요하고, 지금껏 이통사가 만들어 온 DNA 역시 신기술 개발과 도입에 긍정적이다.
이통업계 고위 관계자는 "정부의 6G 기술 표준 경쟁에 찬성하고, 이통사 역시 신기술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예정이다"며 큰 틀에서 정부의 방향에 찬성하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통3사는 기존 전국망 기반의 통신망에 구축했던 경험대로 6G를 도입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통3사는 기존 통신 중심의 비즈니스 전략을 벗어나 새판을 짰다. 클라우드·인공지능(AI) 분야 기업 간 거래(B2B) 시장에서 미래 성장 동력을 찾는다. AI 기반 콘택 센터를 대규모로 확대하거나, 자체 운영 중인 인터넷데이터센터(IDC)를 AI IDC로 변화시키고 있다.
한국 이동통신 시장은 인구보다 가입자 수가 많은 정체 시장이다. 통신 사업으로 수익을 내기 어려운 구조로 산업 자체가 바뀌었다. 이통사는 비싼 월간통신사용료(ARPU)를 지불할 수 있는 6G 가입자를 모집해 일부 수익을 늘릴 수 있지만, 3G·LTE·5G 등 기술을 전면 적용했을 때와 비슷한 수준의 가치를 확보할 것이라는 전망에는 부정적이다. 다시 말해, 신기술인 6G 기술을 개발하는 것과 한국에 도입하는 것은 찬성이지만, 종전처럼 전국망 기반 서비스에 나설 시점은 상용화 후 바로 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통사는 미국 버라이즌이 5G 도입 당시 핫스팟 중심으로 서비스를 한 후 저대역 주파수를 활용한 커버리지 확산에 나섰던 것에 주목한다. 6G 인프라를 전국으로 설치할 때 최소 조 단위의 시설투자비가 발생한다. 핫스팟 중심으로 6G 서비스를 제공한 후 순차적으로 커버리지를 늘려갈 경우, 초기 투자비 부담과 통신 품질 관련 고객 불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정부에는 2029년 6G 상용화에 대한 긍정적 답변을 전달하는 가운데, 망 확산 일정에 대한 논의에 들어갈 수 있다.
이통사 관계자는 "6G는 새로운 통신방식인 만큼 ARPU가 늘어나는 효과가 있지만, 5G 때 경험한 것처럼 품질 관련 이슈가 발생할 경우 기업 입장에서 부담이 될 수 있다"며 "한국이 포화한 통신 시장이라는 점을 충분히 고려해야 하고, 내부에서 5G 당시 미 버라이즌이 했던 것처럼 핫스팟 중심의 6G 구축을 검토 중이다"고 말했다.
디일렉=이진 전문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