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9-19 19:54 (목)
"고온에 대응하라" 차세대 반도체 패키지 소재 공정 기술은...
"고온에 대응하라" 차세대 반도체 패키지 소재 공정 기술은...
  • 한주엽 기자
  • 승인 2023.03.31 20: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알림] 4월 12일 디일렉 주최 '2023 어드밴스드 반도체 패키지 혁신 공정 콘퍼런스'
'방열(放熱), 내열(耐熱)과의 싸움' 반도체는 선폭 미세화 작업으로 점점 더 많은 회로가 칩 다이(Die)에 집적되는 식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회로 크기가 작아지는 것이기 때문에 이론상으로는 동일 소비전력일 때 더 높은 성능을, 동일 성능 기준으론 더 낮은 소비전력을 보여야 합니다. 물론, 어디까지나 이론입니다. 선폭 미세화 속도가 더뎌지고 있는 현 시점에선 소자 간 연결로의 저항값 확대, 누설전류 문제 등으로 전력을 더 먹는 것이 현실입니다. 더 많은 열이 발생하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근래 반도체 패키지 소재 공정 분야에선 고온 환경에 대응하는 방열과 내열이 핫 토픽입니다. 칩에서 발생한 열을 효과적으로 빼내고, 고온에서도 신뢰성을 잃지 않는 패키지 재료 개발과 공정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열이 나는 건 어쩔 수 없으니 잘 빼내고, 열로 인해 패키지가 망가지지 않도록 하겠다는 것입니다. 열이 많이 나는 중앙처리장치(CPU)나 그래픽처리장치(GPU), 기타 시스템온칩(SoC) 위로는 히트싱크가 탑재됩니다. 이들 칩 위로 히트싱크를 붙이려면 접착 성분이 있는 고분자 재료를 발라야 합니다. 업계에선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이라고 부릅니다. 이 재료에는 열 전도율을 높이기 위해 실리카나 알루미나 파우더 등이 첨가됩니다. 첨가물 양이 너무 많으면 접착 성능이 떨어집니다. 때문에 그 비율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존에 없던 첨가물 재료를 쓰려는 움직임도 보입니다. 애플이나 TSMC가 10의 열 전도율을 갖는 TIM을 원한다면 업계가 최대한 맞출 수 있는 수준이 6~7에 그치는 게 현 상황입니다. 일본 레조낙, 세키스이가 이 분야에선 잘 합니다. 다우코닝과 바커도 개발 중이지요. 국내에선 내일테크놀로지가 질화붕소나노튜브(BNNT) 기술로 이 시장을 노크하고 있습니다. BNNT는 열 전도율이 아주 높은 물질입니다.  칩 다이를 붙이는 필름 역시 열 전도율을 높이는 식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메모리는 여러 층을 쌓아올려서 패키징해야 되기 때문에 열을 잘 빼는 것도 중요하지만 보다 얇게 만들면서도 파손되지 않도록 신뢰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일본 레조낙이 이 시장의 강자인데, 최근 LG화학이 강성을 보강하면서도 아주 얇은 수준의 다이 어태치 필름을 개발해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LG화학 제품은 낸드용이 두께가 5마이크론, D램용이 10마이크론입니다. 사람 머리카락 두께가 60마이크론입니다.  반도체 칩 다이와 기판을 붙일 때 쓰는 언더필(Underfill) 재료 역시 화두는 높은 열 전도율입니다. 방열이 화두인겁니다. 언더필은 반도체 칩 다이와 기판 간 전기가 통하는 구 형태 범프(bump) 사이사이 빈 공간을 채우는 재료입니다. 절연(絶緣)이 주 목적이고 연결 부위를 보호합니다. 헨켈과 나믹스가 이 재료를 굉장히 잘 합니다. 
액상 몰딩 기법인 LCM(Liquid Compression Molding) 역시 방열에 효과적인 솔루션으로 꼽힙니다. SK하이닉스가 최신 고대역폭메모리(HBM)에 적용하고 있는 MR-MUF(Mass Reflow Molded Underfill) 공정은 LCM 기법의 한 종류입니다. 삼성전자는 HBM 생산에 필름형 언더필 소재(NCF:Non-conductive Film)를 쓰고 있습니다. 일본 레조낙으로부터 받아옵니다. 쌓아올릴 때 마다 NCF를 깔면서 공정을 합니다. 이에 반해 SK하이닉스 MR-MUF는 칩 다이를 쌓은 뒤에 액상 재료를 압력으로 흘려넣어 경화합니다. 공정이 효율적이고, 방열에 아주 효과적입니다. MR-MUF용 재료를 공급한 곳은 일본 나믹스입니다. LCM은 대만 TSMC가 애플 칩 패키징을 할 때 쓰는 InFO(Intgrated Fan Out) 공정에서도 활용됩니다. 그 재료는 일본 나가세가 공급하고 있습니다. LCM 역시 열 전도율을 높이기 위해 알루미나 등 첨가물 재료를 넣습니다. 액상 재료이기 때문에 첨가물을 보다 많이 넣을 수 있다고 합니다. 열 전도율을 높이기가 더 유리합니다. SK하이닉스는 MR-MUF 공정으로 생산된 자사 HBM의 열 전도율이 기존 대비 두 배 가량 더 높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열이 많이 나는 실리콘카바이드(SiC) 등 화합물 전력 반도체 패키징에선 기존 접착 소재인 솔더 페이스트 대신 은(Ag)이 기초가 되는 복합 재료를 쓰고 있습니다. SiC 전력반도체는 열이 많이 날 때 온도가 200도 이상까지 올라갑니다. 이 정도 온도라면 기존 솔더는 녹아버립니다. 이 때문에 나온 것이 소결(Sintering) 방식으로 만들어진 Ag 재료입니다. 소결된 Ag 재료는 350도까지 버티는 능력이 있습니다. 열 전도율도 기존 대비 두 배나 높습니다. 다만 높은 가격을 낮추는 것은 해소해야 할 과제입니다. 최근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SiC 전력반도체 사용을 75% 줄이고 기존 실리콘계 소자를 사용하겠다고 발표한 것도 높은 가격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소결형 Ag 재료 시장의 강자는 알파메탈입니다. 국내에선 SK실트론이 인수한 테라온이 이 재료로 시장 진입을 도전하고 있습니다.  패키지 기판과 반도체 칩 다이를 연결하는 솔더볼 분야에서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기존 솔더볼이 주석(Sn), 은(Ag), 구리(Cu) 3원계로 구성돼 있었다면 니켈(Ni)이나 인듐(In)과 같은 한 두가지 소재를 더 첨가해 내열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발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디일렉이 4월 1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콘퍼런스룸 3층 308호에서 패키지 세미나를 개최한다. 방열, 내열을 주제로 패키지 반도체 소자기업, 패키지 전문기업, 소재 기업이 나와 주제 발표를 진행한다.
디일렉이 4월 1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콘퍼런스룸 3층 308호에서 패키지 세미나를 개최한다. 방열, 내열을 주제로 패키지 반도체 소자기업, 패키지 전문기업, 소재 기업이 나와 주제 발표를 진행한다.
전자부품 전문미디어 디일렉은 오는 4월 1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콘퍼런스룸 3층 308호에서 이 같은 방열, 내열 패키징 소재 및 공정 기술을 주제로 '2023 어드밴스드 반도체 패키지 혁신 공정 콘퍼런스'를 개최합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스태츠칩팩코리아, 엠코테크놀로지코리아, LG화학, 내일테크놀로지, 헨켈, 엠케이전자, 티에스이, 테라온, 케이던스코리아 같은 패키징 분야의 선두 기업 소속 공정 및 소재 개발자가 나와 최근 패키지 업계의 상황을 브리핑합니다.  놓치지 마십시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515 (아승빌딩) 4F
  • 대표전화 : 02-2658-4707
  • 팩스 : 02-2659-470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수환
  • 법인명 : 주식회사 디일렉
  • 대표자 : 한주엽
  • 제호 : 디일렉
  • 등록번호 : 서울, 아05435
  • 사업자등록번호 : 327-86-01136
  • 등록일 : 2018-10-15
  • 발행일 : 2018-10-15
  • 발행인 : 한주엽
  • 편집인 : 장지영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All rights reserved. mail to [email protected]